본문 바로가기

정읍시 문화관광

정읍관광

|정읍관광|문화유적|도지정유산

도지정유산

태인동헌 태인동헌 태인동헌 태인동헌 태인동헌 태인동헌 태인동헌 태인동헌

이전 이미지 다음 이미지

태인동헌

  • 종목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 지정일1976년 04월 03일
  • 규모정면 육간, 측면 사간. 팔작지붕
  • 시대조선 순조16년(1816년) 중건
  • 소재지정읍시 태인면 동헌길 24

상세정보

조선조(朝鮮朝) 시대의 군·현(郡·縣조)에는 내동헌(內東軒)과 외동헌(外東軒)이 있었던 바, 내동헌은 현감(縣監)의 사택(私宅)이며, (內衙:오늘의 官舍) 외동헌은 현정(縣政)을 하는 곳으로 통칭 동헌(東軒)이라 하였다.
이 동헌은 태인현(泰仁縣)의 외동헌(外東軒)으로 순조(純祖) 16년(1816. 丙子) 4월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후기의 팔작집(八作家)으로 59㎡로, 한국에 지금 있는 동헌 가운데 원형을 그대로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 중 하나이다.
정면(正面)에 청령헌(淸寧軒)이라는 현판(縣板)이 있는데 “갑진맹추상한(甲辰孟秋上澣) 손병호 인(孫秉浩 印)”이라 보인다.

여기에 나타난 갑진(甲辰)은 헌종(憲宗) 10년(1844)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 건물은 평범한 조선식(朝鮮式) 목조(木造)에 기와(瓦葺)를 얹은 평가(平家. 도리를 셋이나 넷을 얹어 지은 집)로 주심포(柱心包. 기둥을 중심으로 하여 쇠서가 있는) 팔작지붕(八作)으로 이익공(二翼工)으로 되어 있다.
가운데에 높은 기둥을 세 개(三本)를 세우고, 전(前) 후(後) 좌(左) 우(右)에 툇보(退樑. 툇기둥과 안기둥에 얹힌 짧은 보)를 짰는데, 전퇴(前退)와 동측(東側) 세 칸(三間)을 마루로 하고, 북편(北便) 동쪽 두 칸(二間)은 일단 높은 마루를 짜서 상좌(上座)를 만들었다.
나머지 후퇴(後退) 삼칸(三間)은 부엌과 창고로 쓰이고 서쪽에는 덧문이 하나 있다.
기둥은 모두 둥근 기둥(圓柱)인데 가운데 서쪽(西側)에서 세 번째 높은 기둥(高柱)은 각 있는 기둥(角柱)을 세웠다.
정면(正面)은 여섯칸(六間)이고, 옆면은 네 칸(四間)이어서 건평(建坪)이 45평이나 되는 큰 건물이다.

내부의 천장(天井) 가운데에는, 섬세한 문양(紋樣)이 있는 죽세공품(竹細工品)으로 중천 (中天)이 되어 있고, 괴목(槐木)으로 된 둥근 기둥(圓柱)으로 건축되었다. 일제시대(一帝時代)부터 태인초등학교 교사(校舍)로 사용하다가, 지금은 빈 집으로 있으나 창문(窓門)등 원형이 변형되어 있다.
또한 죽세공품(竹細工品) 36매(枚) 가운데 12매(枚)가 분실되었고 마루, 벽체 등이 파손되어 빗물이 심하게 들어서, 뒷문의 추녀와 연자가 부패되어 1977년에 보수를 하였다. 동헌(東軒)을 지은 도편수(都片手)가 전주 선화당(宣化堂. 지금의 道廳)을 지은 거장(巨匠)이라고 전하여 진다.

처음 동헌을 지을 때 목수(木手)가 현감(縣監)에게 천냥(千兩)이면 다 지을 수 있다고 시작을 한 뒤 일천냥(一千兩)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그 뒤 또 천냥이 부족하다고 하여 결국 삼천냥(三千兩)이 들었다 한다. 그 이유를 물으니 도편수 말하기를 처음으로 삼천냥이 든다고 하면, 그 동헌(東軒)을 짓지 않을 것이므로, 목수가 자신의 절묘한 기술을 발휘할 기회를 얻기 위하여, 거짓말을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태인현 지도(地圖)에 의하면, 동헌(東軒) 앞에 연못이 있었다는데 지금도 조그마한 연못이 남아 있다.

태인현(泰仁縣)의 객사(客舍)자리에 태인초등학교가 세워지는 바람에 동헌(東軒)이 학교의 경내(境內) 들어가게 되어 한때 교실(敎室)로 사용되어 오다가, 1975년 전북특별자치도 교육위원회(敎育委員會)에 의해서 헐리게 될 처지였지만 지방민의 건의(建議)로 위기를 면하게 되었다.

청령헌(淸寧軒) 상량기(上樑記)

숭정기원후사(崇禎紀元後四) 병자 사월십오일(丙子 四月 十五日) 갑자 사시 입주(甲子 巳時 立柱) 동월 이십일 기사 인시 상량(同月 二十日 巳巳 寅時 上樑) 지현 김리회(知縣 金履會) 좌수 송치(座首 送致) 력행수 서유갑( 行首 徐有甲) 집사 최진홍(執事 崔鎭洪) 호장 시명 두(戶長 柴命斗) 이방 송태열(吏房 宋泰悅) 감관동지 송인환(監官同知 宋寅煥) 색리 송민기 송윤권 송영노(色吏 宋民祺. 宋潤權. 宋永老) 이령 이도복 임지태 최개하(吏令 李道福. 林之泰. 崔介下)

도편수 승 두징(都片手 僧 斗澄) 부편수 이동량 승 관신 서여언 승 묘신 덕찬 쾌영 승희 양득용 이성태 송명동 신정용 김여원 김탄실 윤만근 손인위 박춘득 주영득 조춘화 천만일 송중이 허 강(副片手 李東良 僧 寬信 徐汝彦 僧 妙信 德贊 快永 勝喜 梁得用 李成太 宋命東 申正用 金汝元 金呑實 尹萬根 孫仁渭 朴春得 朱永得 趙春化 千晩日 宋仲伊 許 江)

석 수 : 서백암 서종득 서효봉 최만득(石 手. 徐白岩 徐宗得 崔晩得)
야 장 : 신일억 서천년 양일명 김산중 서도문(冶 匠. 申日億 徐千年 梁一明 金山重 徐道文.

교통

역, 터미널에서 태인행 시내버스로 30분, 승용차로 20분

주변관광소

피향정, 태인향교, 서현사지, 태인신잠선생영상, 신잠비

목록

  • 관리부서동학문화재과/문화재정책팀
  • 연락처063-539-691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